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대선 노인복지 공약 비교: 이재명 vs 김문수

by 오곰이 2025. 6. 2.
반응형

2025 대선후보 공약

 

2025년 6월 3일, 제21대 대통령 선거가 치러집니다. 고령화 사회로 접어든 대한민국에서 노인복지는 중요한 이슈로 떠오르고 있습니다.

이번 선거에서 이재명 후보와 김문수 후보는 각각 어떤 노인복지 정책을 내세우고 있을까요? 두 후보의 공약을 비교해 보겠습니다.

1. 이재명 후보의 노인복지 공약

이재명 후보는 '어르신이 행복한 나라'를 슬로건으로 내세우며, 다음과 같은 노인복지 공약을 발표했습니다:

1) 기초연금 부부감액 제도 폐지: 부부가 함께 연금을 수령할 경우 일부 감액되는 제도를 단계적으로 폐지하여, 더 넉넉한 노후 생활을 지원하겠다는 계획입니다. 

2) 일하는 어르신의 국민연금 감액 제도 개선: 100세 시대를 맞아 일하는 어르신이 손해 보지 않도록 제도를 개선하고 일자리를 장려하겠다고 밝혔습니다. 

3) 임플란트 건강보험 적용 확대: 임플란트 건강보험의 적용 연령을 낮추고, 보장 개수를 늘리는 방안을 제시했습니다. 

4) 주치의 제도 확대 및 간병비 공공부담 확대: 의료 취약계층을 위한 주치의 제도 확대와 간병비의 공공부담 확대를 통해 '간병파산'을 방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5) 지역사회 중심의 통합 돌봄 확대: 국가 책임 하에 어르신 돌봄 체계를 강화하겠다고 했습니다. 

 

2. 김문수 후보의 노인복지 공약

김문수 후보는 노년층을 주요 타깃으로 설정하고, 다음과 같은 노인복지 공약을 발표했습니다:

1) 65세 이상 버스 무료승차 확대: 현행 지하철 무료승차 제도를 버스까지 확대하되, 평일 오전 9시부터 오후 5시까지로 무료승차 시간을 제한하겠다는 계획입니다. 

2) 고령층 공공주택 특별공급: 신규 공공주택의 25%를 고령층에 특별공급하고, 의료·돌봄·식사 등 편의시설을 의무 설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3) 치매 안심 국가책임제 강화: 치매 가족 간병 시 월 50만 원을 지원하고, 치매 돌봄 코디네이션을 확대하겠다고 했습니다. 

4) 어르신 복지 일자리 확충: 사회 서비스형 어르신 복지 일자리를 확충하고, 어르신 데이케어센터 이용시간을 확대하겠다고 밝혔습니다. 

5) 요양병원 간병비 건강보험 적용: 요양병원 간병비에 건강보험을 적용하겠다고 공약했습니다. 

3. 두 후보의 노인복지 공약 비교

       공약                        이재명 후보                                                                 김문수 후보

연금 제도 기초연금 부부감액 폐지, 국민연금 감액 제도 개선 언급 없음
의료 지원 임플란트 보험 확대, 주치의 제도 확대, 간병비 공공부담 요양병원 간병비 건강보험 적용, 치매 안심 국가책임제 강화
돌봄 서비스 지역사회 중심 통합돌봄 확대 어르신 데이케어센터 이용시간 확대, 치매 돌봄 코디네이션 확대
주거 지원 고령자 친화 주택·은퇴자 도시 조성 고령층 공공주택 특별공급, 편의시설 의무 설치
교통 지원 언급 없음 65세 이상 버스 무료승차 확대
일자리 지원 공공일자리 확대 어르신 복지 일자리 확충

 

노인복지는 단순한 복지 정책을 넘어, 고령화 사회에서의 삶의 질과 직결되는 중요한 문제입니다.

각 후보의 공약을 꼼꼼히 살펴보고, 어르신들의 삶을 더욱 풍요롭게 만들 수 있는 선택을 하시길 바랍니다.

반응형